내블로그으으
[로키리눅스] 필수개념 및 명령 본문
출처) 이것이리눅스다 with Rocky Linux9 책
▶네트워크 주요명령어: nmtui
systemctl start/stop/restart/status NetworkManager
▶네트워크 설정파일: cd /etc/NetworkManager/system-connections/ens32.connection
▶ crontab 설정관련: /etc/crontab
예시) 01 * * * * root run-parts /etc/cron.hourly
: 여기서 run-parts는 디렉터리 안의 모든 명령을 실행하는 명령어이다.
▶ 우리나라 타임서버: time.bora.net / ntp.kornet.net / ntp.postech.ac.kr
▶SELinux 활성화여부:
sestatus 또는 getenforce 명령어로 알수있음
▶ SELinux 활성or 비활성화 여부:
grubby --update-kernel ALL --args selinux=0 // 비활성 (재부팅 이후부터 적용됨)
grubby --update-kernel ALL --remove-args selinux // 활성 (재부팅 이후부터 적용됨)
SELinux를 활성화하면, 기본적으로 1) 강제모드(enforcing)로 설정된다
2) 허용모드(permissive)로 설정하려면, /etc/sysconfig/selinux 파일을 직접 편집한다
▶ 백그라운드로 가동중인 프로세스는 'jobs'명령어로 현재 백그라운드로 가동중인 프로세스 확인가능
bg : '포그라운드 프로세스' -> '백그라운드 프로세스'로 실행
fg [작업번호] : '백그라운드' -> '포그라운드'로 실행
▶서비스 : 평상시에도 늘 작동하는 서버 프로세스 (시스템과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프로세스)
소켓 : 필요할때만 작동하는 서버 프로세스
▶ systemd 라고 부르는 '서비스 매니저 프로그램'으로 서비스와 소켓 작동시키거나 관리함
(예전에는 RHEL 계열은 최상위 프로세스인 init가 서비스를 직접 관리하는 방식을 사용했으나,
요즘에는 systemd가 서비스 대부분을 관리함)
systemd 세부내용 - https://docs.fedoraproject.org/en-US/quick-docs/systemd-understanding-and-administering/
Understanding and administering systemd
Learn the basic principles of the systemd init system: how to configure it and use it to administer the system. Understanding systemd Systemd is a system and service manager for…
docs.fedoraproject.org
▶ 서비스 실행 스크립트 파일
/usr/lib/systemd/system/서비스이름.service
▶소켓과 관련된 스크립트 파일: /usr/lib/systemd/system 아래 '소켓이름.socket'
(Rocky Linux 9에서는 많은 서비스가 xinetd 데몬에 의존하지않고 소켓으로 사용된다)
▶root 비번 잊어버렸을때, 응급복구
[1. 단일 사용자모드(응급복구모드) 로 접속한다]
1) 부팅후 GRUB 부트로더 나타남, 해당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e 누름
2) 4번째 줄에 커서 대고 End키 눌렀을 때, 그 줄에 'rhgb quiet' 삭제한다. 그리고 맨끝에 'init=/bin/sh' 입력한다.
3) Ctrl + x 눌러서 부팅함
[2. 단일사용자모드에서 root계정 패스워드 변경]
1) 부팅되면 'sh5-1#' 이라는 프롬프트 나옴
2) 여기서 whoami 명령어로 현재 로그인된 계정이 root인지 확인하고
passwd 명령어 통해서 신규패스워드를 입력한다
3) 그런데 'passwd: Authentication token manipulation error' 라 뜬다면,
현재 '/' 파티션이 읽기 전용모드로 마운트 되어 있기 때문이다.
4) 마운트 된 파티션을 RW모드로 변경한다
5) 가상머신 재부팅하면 새로운 비밀번호로 root 접속가능!
▶ GRUB 부트로더
: Rocky Linux 부팅할 때 처음 나오는 선택화면을 말함
- Locky Linux에서는 예전의 GRUB보다 더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는 GRUB 2 사용
- GRUB 2 설정파일: /boot/grub2/grub.cfg
" 링크파일: /etc/grub2.cfg
- GRUB 2의 설정을 변경하고자 이 파일을 직접 편집하면 안되고,
/etc/default/grub파일과 /etc/grub.d 디렉터리의 파일을 수정한 후 grub2-mkconfig 명령을 실행해 설정을 적용해야 한다.
▶부트로더에 비밀번호 설정하는법
( 아무나 부트로더에 접근하여 root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하지 못하도록)
1. /etc/grub.d/00_header 파일 가장 아래쪽에 다음 4개 행 추가, 저장
cat << EOF set superusers="grub사용자이름" password 사용자이름 패스워드 EOF |
2. 변경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
grub2-mkcomfig -o /boot/grub2/grub.cfg 명령어 입력
3. reboot 명령으로 시스템 재부팅 후, 선택화면이 뜨면 e를 눌러 편집화면에 진입
4. 그럼 grub 전용의 사용자 및 비밀번호 입력창이 뜸
▶(간단한) 커널,모듈의 개념
1. 커널의 가장 큰 역할 : 하드웨어 지원
- 초기커널: 지원할 H/W가 많지않아서 커널에 하드웨어를 지원하는 코드를 모두 넣어놓음
---> 커널에 넣어야할 코드가 점점 많아지고 커널이 커짐
---> 가끔 사용하는 코드는 커널에 안넣고 별도로 보관했다가, 필요할 때 호출해서 쓰면 커널도 더 키우지 않고, 더 많은 H/W를 지원할 수 있겠다 생각함
---> 그것이 '모듈'
2. 커널에 넣어야 할 코드와 모듈로 분리해야 할 코드가 Rocky Linux에 설정되어 있을텐데 내 컴퓨터의 H/W 에 맞게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는 않다.
만약, 자주 사용하지 않는 장치는 모듈로 분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지만, Rocky Linux 설치시에 커널에 들어가도록 설정되어있을수도 있다. 이럴때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지정해서 기존의 커널과 똑같은 버전을 다시 컴파일할 수 있다.
3. 커널은 H/W지원 측면에서 중요한데, 최근 출시된 H/W를 장착할때
기존 커널에서 지원하지 않을 수 있지만, 커널을 업데이트하면 지원할수 도 있다.
www.kernel.org에서 최신 커널 소스 다운로드해서 업그레이드하면 된다고 한다.
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ㄱㄱ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디렉터리 내 파일 갯수 확인 명령어(하위디렉터리 포함) (0) | 2025.06.18 |
---|---|
VMware 가상머신(Rocky 8.8) 하드디스크 추가 (0) | 2025.01.20 |
Rocky 8.8 네트워크 설정 (0) | 2025.01.20 |
[리눅스] 소소한 정보-/etc/skel (0) | 2024.11.08 |
심볼릭링크 활용 (0) | 2022.07.29 |